천식의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과 간호 중재
안녕하십니까. 즐거운단쨩입니다. 오늘은 천식의 원인과 증상, 천식의 진단 방법과 치료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천식은 Asthma라고 합니다. 천식은 기도의 만성적인 염증 질환으로 기도 과민성이 증가하며, 가역적으로 기도가 폐쇄됩니다.
천식의 원인은 외인성과 내인성으로 나뉩니다. 외인성 천식은 아토피성 천식이라고 하며, 보통 어린이나 젊은이에게 호발 합니다. 급성으로 발작을 일으키게 되고 간혹 만성화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외인성 천식의 원인은 유전적인 원인이 있습니다. 또, 호흡기 감염,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먼지 등이나 음식, 차가운 공기와 같은 기후의 변화로 인한 항원 과민성이 원인이 됩니다. 또, 직업적으로 다루는 물질에 의한 천식도 있으며, 감정적인 변화와 과도한 스트레스도 천식을 유발합니다. 또 임신이나 폐경, 사춘기, 월경과 같은 내분비의 변화에도 천식이 유발됩니다.
내인성 천식은 비아토성 천식이라고 합니다. 35세 이후 성인에게 발병하며 만성화로 진행되어 예후가 나쁩니다. 아스피린 민감성으로 천식이 발생할 수 있고, 상부기도 감염일 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천식의 주요 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쌕쌕거리는 wheezing sound이 있습니다. 또, 급성 발작 때는 기이성 맥박이 있고, 보조 호흡근을 사용하며 발작 시작 시 기침과 함께 가슴이 죄어오는 느낌이 들게 됩니다. 이때, 호흡이 거칠어지고 쌕쌕거리는 호흡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발작이 종료되면 가래를 동반한 기침이 발생하며 많은 양의 끈적한 객담이 생깁니다.
천식의 진단은 폐기능검사와 동맥혈 가스검사,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 객담검사를 통해 진단하게 됩니다. 객담검사 시에는 객담 내 호산구가 증가하게 됩니다.
천식이 발생했을 때 약물요법은 기관지 확장제와 항염증제를 투여합니다.
급성 천식일 경우 간호 중재는 신속하게 행해져야 하며, 우선적으로 기도를 개방해야 합니다. 기도개방을 위해서 aminophylline 과과 스테로이드를 정맥으로 투여하기도 합니다. 또, 호흡곤란을 호소하니 산산 소 공급을 하며, 홙환자가 호흡하기 편안한 체위를 취해줍니다. 또, 구강과 정맥으로 수분을 공급해줍니다.
만성 천식일 경우 간호중재는 환자가 약물을 잘 이행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기관지 경련을 일으키는 자극물, 알레르기원을 제거합니다. 먼지가 없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차고 건조한 공기에서 천식 발작이 발생하게 되니 온도와 습도를 잘 조절해주어야 합니다. 그래서 차고 건조한 밤에 천식 발작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천식 외에 호흡기 감염이 발생할 경우 조기에 치료를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