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즐거운단쨩입니다. 오늘은 정맥질환인 심부정맥 혈전과 정맥류에 대해서 비교해보고 진단, 증상, 치료 및 간호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심부정맥혈전은 심부 정맥에 생기는 정맥염입니다. 심부정맥 혈전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정맥 울혈, 정맥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 혈액응고의 항진이 있습니다. 심부정맥 혈전의 진단 방법은 도플러 검사를 시행하거나 호먼스 징후 Homans sign이 양성일 경우 진단합니다. 호먼스 징후란 발을 강제로 뒤쪽으로 굽히면 무릎 뒤편에서 통증이나 불쾌감이 있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심부정맥 혈전의 증상으로는 환측 다리에 부종이 있게 되며, 통증, 발적, 열감도 있게 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항응고요법을 실시합니다. 항응고제로는 Heparin과 Coumadin을 사용하게 됩니다. 항응고 요법을 시행하게 될 때에는 혈액검사를 시행해서 혈액 응고 검사 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heparin은 혈액검사 중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인 PTT를 확인하고, Coumadin은 프로트롬빈 시간인 PT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 항응고제뿐 아니라 혈전용해제를 사용합니다.
심부정맥 혈전은 예방적인 간호가 중요합니다. 수술하게 되면 조기 이상을 격려해줘야 하며, 수술 후에는 탄력 스타킹을 착용하게 합니다. 또, 다리를 상승하는 자세를 취해 부종을 예방하고 혈액순환을 도와줍니다. 또, 하지에는 정맥주사를 피하고, 색전 형성의 원인이 되는 마사지를 피합니다. 그리고 온찜질을 시행하여 순환이 잘 되게 도와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그다음 정맥질환인 정맥류는 정맥 판막에 기능이 상실되거나 정맥압이 상승되어 표재성 정맥이 확장되고 구불거리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정맥류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가족력과 선천성이 있습니다. 또, 외상, 폐색, 심부정맥 혈전증, 손상된 판막의 염증, 임신, 울혈성 심부전, 오래 서 있는 직업도 원인이 됩니다. 정맥류를 진단하는 방법은 심부정맥 혈전증과 같이 도플러 검사를 시행합니다. 또, 정맥류는 트렌델렌 버그 검사 Trendelenburg test를 시행했을 때 양성이 나오게 됩니다. 트렌델렌 버그 검사는 한 다리씩 번갈아 지탱하며 서 있을 때 뒤에서 골반을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다리를 심장보다 45도 높게 올린 후 다리를 내렸을 때 정맥류를 일으켜 정맥이 확장되고 구불거리는지 확인하였을 때, 그런 증상이 있게 되면 정맥류로 진단합니다.
정맥류는 자주 다리를 상승시켜주어 혈액 순환을 도와줍니다. 또, 적절한 휴식과 체중 유지도 정맥류에 도움이 됩니다. 또, 탄력 스타킹을 착용합니다. 정맥류 수술을 진행하였을 경우에도 탄력붕대로 다리를 압박하며, 다리 운동은 수술 후 24시간 뒤에 진행합니다.
'간호사 알려주는 의학 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에 대한 정의, 위험요인, 치료와 간호 중재 (0) | 2020.07.04 |
---|---|
심근경색을 진단하는 방법과 심근경색의 증상과 그에 따른 치료와 간호 (0) | 2020.07.02 |
빈혈의 종류와 종류에 따른 증상과 치료 방법 (0) | 2020.06.29 |
수혈의 목적과 종류, 수혈의 부작용에 따른 간호중재 (0) | 2020.06.25 |
천식의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과 간호 중재 (0) | 2020.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