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즐거운 단쨩입니다. 간호사가 알려주는 친절한 의학 백서, 오늘은 수막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뇌막염은 의학용어로 meningitis라고 합니다. 뇌막염, 수막염, 뇌수막염 모두 같은 동의어입니다. 뇌막염은 수막이나 뇌와 척수에 있는 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원인은 연쇄상 폐렴구균, 뇌막염 구균 등과 같은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이 원인이 됩니다. 그중 인플루엔자 간균과 수막구균이 세균성 수막염을 발생시키는 가장 흔한 원인균입니다. 세균성 감염의 경우 혈액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혈액을 타고 뇌에 위치한 뇌척수액 공간으로까지 감염이 되거나, 중이염이나 두개골에 발생하는 세균 감염이 뇌수막 공간으로 넘어가서 감염이 될 수도 있습니다.
뇌막염이 발생할 경우 나타나는 3대 증상은 kernig sign이 양성, brudzinski 양성, 경부강직입니다. kernig sign 양성이란, 환자의 대퇴를 고관절에서 90도로 굴곡 시킨 후에 무릎에서 다리를 펴려고 할 때 다리를 펼 수 없는, 신전시킬 수 없는 증상입니다. 또, brudzinski sign이 양성이 됩니다. 이 경우에는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목과 머리를 타인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굴곡시킬 때 고관절과 다리가 함께 굴곡되는 증상이 생깁니다. 뇌막염 원인 중에서도 수막염균에 의한 감염일 경우 반점이나 발적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두통, 요통, 38도 이상의 고열, 백혈구 증가증, 의식상태에 변화가 생기며, 조명을 무서워하는 광선 공포증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막염은 뇌척수액에서 항체검사나 PCR 검사를 진행하여 양성일 경우 뇌막염으로 확진을 합니다. 추가적으로 두개골의 물리적인 손상 여부 확인을 위해서 컴퓨터단층촬영이나 자기 공명 영상 촬영을 할 수도 있습니다.
뇌막염의 치료는 우선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일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가 없이 자연적으로 호전되지만, herpes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일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합니다. 반면 세균성 수막염일 경우 즉시 항생제를 투여하게 됩니다. 주로 사용하는 항생제는 penicillin 페니실린, cephalosporin 세팔로스포린, vancomycin 반코마이신입니다. 또, 뇌부종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로이드와 삼투성 이뇨제를 투여하여 부종을 예방합니다. 또 뇌실 복강 단락술 V-P shunt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V-P shunt란 뇌실에 얇은 관을 넣고 뇌척수액을 머리 아래로 뽑아내어 삽입한 관을 통하여 복강으로 흘려보내 몸으로 흡수돼 되게 하는 수술입니다.
뇌막염의 간호에는 우선 환자가 증상으로 광선공포증을 호소할 경우 조명을 제한하고 방을 어둡게 합니다. 경부 강직이 있기 때문에, 머리와 목의 강직에 주의해야 합니다. 경련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경련을 관찰하며 경련 발생 시 주변의 위험한 물건을 치워주어야 합니다. 체온조절이 잘 되지 않아 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해열제를 투여합니다. 또, 두통이 있을 경우에는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조절합니다. 또 수막구균으로 인한 감염의 경우 수막구균이 전염성이 높으므로 환자를 격리하여 치료해야 하며, 환자와 접촉한 의료진과 가족들도 예방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간호사 알려주는 의학 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순포진과 대상포진의 차이와 치료 방법 (0) | 2020.06.16 |
---|---|
화상을 입었을때 응급처치와 화상환자 치료 방법 (0) | 2020.06.15 |
뇌졸중의 증상에 따른 치료와 간호 방법은? (0) | 2020.06.13 |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 진단, 치료, 간호법의 모든것! (0) | 2020.06.12 |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증상, 치료법, 식이, 간호법 (0) |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