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즐거운 단쨩입니다. 간호사가 알려주는 친절한 의학 백서, 오늘은 뇌졸중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뇌졸중은 의학용어로 Cerebrovascular Accident 또는 stroke 라고도 합니다. 뇌졸중은 뇌순환이 갑작스럽게 감소함에 따라 신경학적 결손이 발생하는 것으로 뇌경색의 원인이 됩니다. 원인의 80프로는 허혈성이며, 나머지 20프로는 출혈성입니다. 허혈성은 혈액 공급에 장애가 있어 부분적으로 괴사 등이 발생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출혈성은 말 그대로 출혈이 생김으로써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들을 의미합니다.
뇌졸중의 증상과 그에 맞는 치료, 간호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구토, 경련, 혼수, 목의 강직, 발열, 고혈압 , 기억력의 손상, 정신 변화등이 있습니다. 또 뇌 좌측에 손상이 있을 시 우측에 마비가 발생하고, 뇌 우측에 손상이 있을시에는 좌측에 마비가 발생하는 반신마비나 반신부전마비가 생깁니다. 마비된 부위에는 감각이 소실되며, 근육과 관절 운동이 소실되어 균형감도 떨어지게 되며 그로인해 부적절한 움직임과 보행 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또, 뇌의 손상으로 구음장애 및 실어증이 발생할 수도있습니다. 구음장애는 언어를 이해하지만 발음이 잘 안되거나 느리고 어눌한 언어 구사를 합니다. 문법이나 문장 구성에는 장애가 없으며 글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실어증은 감각 실어증과 표현 실어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감각 실어증이란 베로니케 실어증이라고도 하며, 스스로 언어를 말할 수 있으나 타인의 말은 소리는 듣지만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장애입니다. 표현 실어증은 브로카 실어증이라고도 하며, 말을 잘하지 못하고 문법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언어장애입니다. 이 실어증의 경우에는 말을 이해하거나 글을 쓰는데 어려움은 있지만, 동작 표현은 할 수 있습니다.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대상자의 이해 수준 및 언어 사용 수준을 파악한 후 환자에 맞춘 간단한 단어를 사용항하여 대화합니다. 대화시에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며, 재활치료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 연하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무언가를 삼키는 행위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식사를 할 때 머리와 목을 턱과 함께 약간 앞으로 당겨 내려서 음식을 충분히 씹기 전에 음식이 넘어가지 않도록 예방해야 합니다. 또, 식사는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씹게해야 합니다. 액체로 된 음식 보다는 연식이나 반연식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시력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뇌의 두정엽과 측두엽에 손상이 있을 경우에 시각 장애인 반맹증이 발생합니다. 반맹증 환자의 경우에는 시각이 완전한 쪽에서 접근해야하며, 불완전한 쪽에서 접근할 경우 환자가 갑작스럽게 놀라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시각이 완전한 족에 문이 위치하도록 하며, 머리를 여러방향으로 돌려 감소된 시야를 보상하도로 교육해야 합니다.
뇌졸중 환자의 경우에는 방광에도 손상이 올 수 있습니다. 방광에 손상이 오게되면 소변을 자신의 의지대로 조절하지 못하여 빈뇨, 긴박뇨가 발생하게 되며 만성 요실금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정서적으로 약해지고 혼란스러우며 감정변화가 심해집니다. 퇴행성 변화가 생길 경우 어린이 같은 행동을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간호사 알려주는 의학 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상을 입었을때 응급처치와 화상환자 치료 방법 (0) | 2020.06.15 |
---|---|
뇌막염의 원인, 증상과 치료 방법 (0) | 2020.06.14 |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 진단, 치료, 간호법의 모든것! (0) | 2020.06.12 |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증상, 치료법, 식이, 간호법 (0) | 2020.06.11 |
결핵 진단 방법과 결핵 치료 방법, 간호 중재 (0) | 2020.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