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즐거운단쨩입니다. 오늘은 고혈압 Hypertension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고혈압의 정의는 혈압을 측정했을 때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을 의미합니다. 또, 고혈압은 2가지로 종류가 나뉘게 됩니다.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뉘는데요. 일차성 고혈압은 원인을 알 수 없는 고혈압으로 고혈압의 90%에서 95% 비율을 차지합니다. 또, 본태성 또는 특발성 고혈압이라고도 정의합니다. 이차성 고혈압은 특정 질환이나 상태로 고혈압이 발생하게 되어, 문제가 해결되면 혈압이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될 때 이차성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을 유발시키는 위험요인으로는 우리가 조절할 수 있는 요인과 조절 불가능한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는 비만, 죽상경화증, 흡연, 고염식이, 알코올, 정신적 스트레스, 음주, 신체활동 부족 등이 있습니다. 조절 불가능한 요인으로는 가족력, 연령, 성별, 인종이 있습니다.
고혈압을 유발하는 조절 가능한 요인은 생활습관 교정만으로도 고혈압을 많이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상적인 체온을 유지하고, 염분을 제한하는 식이를 섭취하며, 또 금연하며, 운동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구강 피임제 같은 경우는 구강 피임제가 아닌 다른 피임법을 권장합니다.
생활습관 교정 후 3개월이 지나도 혈압변가 없을 때나 이완기 혈압이 90에서 95mmHg 이상인 경우 약물요법으로 고혈압을 치료합니다. 약물요법의 종류는 이뇨제, 베타차단제, 알파차단제, 칼슘길항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혈관확장제를 사용합니다. 약물요법의 경우 1기 고혈압과 2기 고혈압일 때 사용하는 약물도 달라지게 됩니다. 1기 고혈압 때에는 이뇨제 중에서도 Thiazide계 이뇨제를 사용하며, ACE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베타 차단제, 칼슘차단제 사용을 고려합니다. 2기 고혈압대는 주로 2개 약제를 병용하게 됩니다. 사용하는 약물은 Thiazide계 이뇨제, ACE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베타 차단제, 칼슘 차단제가 있습니다.
환자가 고혈압 약물을 불이행한다면 우선 약물 이름, 종류, 약리작용, 용량, 투약 스케쥴을 교육합니다. 그리고 증상이 없다고 혈압이 잘 조절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시킵니다. 갑자기 약물 복용을 중단할 시에 반동성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교육합니다. 또, 약물 복용 직후 체위성 저혈압과 현기증이 올 수 있다는 것을 교육해야 합니다.
이상 고혈압에 대한 정의, 위험요인, 치료와 간호중재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간호사 알려주는 의학 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근경색을 진단하는 방법과 심근경색의 증상과 그에 따른 치료와 간호 (0) | 2020.07.02 |
---|---|
정맥질환 심부정맥혈전 vs 정맥류의 비교와 치료 방법 (0) | 2020.06.30 |
빈혈의 종류와 종류에 따른 증상과 치료 방법 (0) | 2020.06.29 |
수혈의 목적과 종류, 수혈의 부작용에 따른 간호중재 (0) | 2020.06.25 |
천식의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과 간호 중재 (0) | 2020.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