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즐거운단쨩입니다. 오늘은 비염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비염은 크게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나뉩니다.
우선 Allergic rhinitis 알레르기성 비염은 외부 항원에 대한 비강 점막의 반응으로 인한 염증으로 알레르기원은 꽃가루, 계절 변화, 곰팡이, 먼지, 동물, 털, 스트레스, 내분비 장애등이 원인이 됩니다. 계절이 바뀔때, 꽃가루가 날릴 때마다 기침이 난다면 알레르기성 비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알레르기원이 우리 몸에 있는 lgE와 반응하여 매개체를 방출하면서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증상은 부종, 염증, 재채기, 점액분비 증가, 비혈관의 확장, 두통, 눈물이 나고 가려운 증상 등이 발생합니다. 치료는 우선 알레르기원을 없애는게 중요합니다. 알레르기원이 없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또한 약물 요법으로는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하거나 교감신경 자극제를 투여합니다.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게 되면 부작용으로 졸림, 어지럼증, 식욕 감퇴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면역요법으로는 탈감작요법이 있습니다. 탈감작요법이란 알레르기 질환의 과민성을 제거, 감소하기 위한 치료법입니다. 탈감작요법은 정기적으로 환자에게 알레르기 증상의 원인이 되는 항원을 투여하거나 노출시켜 과민성을 저하시킵니다.
두번째로 Nonallergic rhinitis 비알레기성 비염은 알레르기원이 원인이 되지 않고 공기 온도, 습도, 냄새, 스트레스, 긴장 등이 원인이 되어 비강의 반응이 있게 됩니다. 증상은 원인에 직접 적촙되는 점막에 국소적인 증상이 있게 됩니다. 접촉한 부위에 따라 비점막의 부종, 맑은 분비물, 결막의 충혈 등이 있게 됩니다. 비알레기성 비염의 치료는 약물 투여로 항히스타민제, 교감신경자극제를 투여합니다. 또, 부신피질 호르몬을 비강 내 투여하기도 합니다. 비알레르기성 비염은 알코올, 흡연, 기온, 습도변화와 같은 부교감을 자극하는 상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의 간호중재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수분섭취를 증가시키며, 환경은 알레르기원을 없애고, 가습을 해줍니다. 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자주 씻고, 기침과 재채기시에 입을 가리고 하며,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피합니다. 또, 운동은 수영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고열, 심한 흉통, 귀의 통증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감기가 재발하게 되면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코를 풀때는 양쪽 비공이 열려 있는 상태로 푼다. 그 이유는 염증이 인두와 귀를 연결하는 유스타키오관으로 퍼지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비염도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나뉘며 치료법도 달라지게 됩니다.
'간호사 알려주는 의학 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식의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과 간호 중재 (0) | 2020.06.24 |
---|---|
폐렴의 증상과 그에 맞는 치료와 간호 방법 (0) | 2020.06.23 |
우리 몸에서 보내는 암 발생 경고 증상과 암을 예방하는 생활 습관 (0) | 2020.06.21 |
갑자기 쓰러진 사람을 발견한다면? 심폐소생술 방법 (0) | 2020.06.20 |
요로감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간호 방법의 모든 것! (0) | 2020.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