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즐거운 단쨩입니다. 간혹 뉴스를 보면 의식이 없이 길에서 쓰러진 사람을 심폐소생술로 구한 뉴스를 들어본 적 있으실 겁니다. 오늘은 갑자기 길에서 쓰러진 사람을 발견할 때 대처방법과 심폐소생술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의료진의 경우 근무 중 환자가 심정지가 왔을 경우 행해야 하는 심폐소생술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심폐소생술을 해야 한다고 판단이 들면, 지체하지 않고 빠르게 행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4분 이내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뇌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절차는 1. 의식 확인을 먼저 합니다. 쓰러진 사람의 어깨를 두드리면서 큰 소리로 괜찮으신가요. 정신이 드시나요. 말하며 의식을 확인합니다.
2. 의식이 없을 경우 주변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도움을 요청할 때는 도움을 요청할 사람의 특징을 콕 집어서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노란색 옷 입으신 분 119에 전화해주세요. 이렇게 도움을 요청해야 혼란스럽지 않고 빠르게 심폐소생술 절차가 진행이 됩니다. 도움을 요청할 때는 한 명에게는 119 전화를 하도록 요청하고, 또 한 명에게는 자동제세동기를 가져오도록 도움을 요청합니다.
3. 그 다음 맥박과 호흡을 확인합니다. 맥박은 목에 위치한 경동맥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동맥의 맥박이 크게 뛰므로 확인하기가 쉽습니다. 맥박은 10초 동안 뛰는지 안 뛰는지 확인합니다. 호흡은 가슴이 오르내리락 하는지 확인하거나, 코에 손가락을 대고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맥박이 뛰지 않는다면 바로 심폐소생술을 시작합니다. 심폐소생술은 가슴압박 30회와 인공호흡 2회를 1주기로 합니다. 가슴을 압박할때 위치는 양쪽 가슴 중앙에 위치하게 하며 흉부가 5~6cm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압박합니다. 압박하는 자세는 팔꿈치를 굽히지 않고 쭉 펴고 어깨가 대상자 위로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합니다. 손은 한 손을 다른 손 위에 포갭니다. 또, 가슴 압박 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충분한 가슴 압박을 하며, 횟수를 혼동하지 않도록 숫자를 세어주며 하는 것도 좋습니다.
인공호흡을 할 때는 대상자의 목을 신전시켜 기도를 개방시킵니다. 쓰러진 사람이 숨을 들이마시는 흡기시에 코를 막고 입을 통해 숨을 불어넣어주고, 숨을 뱉는 호기 시에 코와 입을 개방시켜 충분히 숨을 뱉어낼 수 있게 합니다.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은 5주기, 2분동안 시행합니다. 5주기가 끝날 때마다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여전히 환자가 의식이 없다면 다시 심폐소생술을 반복해야 합니다. 환자가 소생의 징후가 있다면 심폐소생술을 멈추어도 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심폐소생술은 5주기마다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진행합니다. 전문 소생팀이 오게 되면 심폐소생술을 멈추고 전문 소생팀이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게 합니다.
'간호사 알려주는 의학 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알레르기성 비염일까? 비알레르기성 비염일까? 비염의 치료와 간호 방법 (0) | 2020.06.22 |
---|---|
우리 몸에서 보내는 암 발생 경고 증상과 암을 예방하는 생활 습관 (0) | 2020.06.21 |
요로감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간호 방법의 모든 것! (0) | 2020.06.19 |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의 장점과 단점, 합병증 (0) | 2020.06.18 |
요실금의 종류와 치료 맟 간호 방법 (0) | 2020.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