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즐거운 단쨩입니다. 간호사 알려주는 의학 백서, 오늘은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투석은 의학용어로 Dialysis라고 합니다. 투석은 크게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으로 나뉩니다.
우선 혈액투석은 체외의 투석이 혈액을 순환시켜 몸 안의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게 됩니다. 치료는 주로 3시간에서 5시간 정도로 치료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으며, 노폐물과 수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됩니다. 단점으로는 혈액투석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직원과 장비가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혈액투석의 합병증에는 저혈압, 심부정맥, 빈혈증, 감염, 공기 색전, 헤파린 사용으로 인한 출혈, 전해질 불균형, 투석 불균형 증후군이 있습니다. 투석 불균형 증후군은 혈액 투석 시 BUN 수치의 급격한 감소로 뇌부종을 유발하는 증후군입니다. 그래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투석 후에 부작용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 혈액의 갑작스런 움직임으로 인해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으니,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압을 포함하여 활력징후를 투석전과 후에 측정하여 비교하여야 합니다. 저혈압이 올 경우에는 수분을 보충해주고, 쇼크 체위를 취해주고, 투석하는 날 아침에는 항고혈압제를 복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또 패혈증이 발생하여 갑작스럽게 체온이 상승하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혈액 배양검사를 실시하여 패혈증인지 확인 후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 혈액투석을 위해서는 전신적인 헤파린 요법이 필요하여 출혈이 발생할 수 있어 출혈증상을 감시하고 혈액투석 후에 정맥 주사와 근육주사를 피해야 합니다. 투석의 부작용으로는 저혈당이 발생할수 있는데 투석 전과 중간에 식사나 간식을 꼭 섭취하여 저혈당증을 예방합니다.
복막투석은 고장액을 복막강으로 순환시켜 노폐물과 체액을 제거하게 됩니다. 장점으로는 헤파린 요법이 불필요하며, 저혈압이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 환자가 손으로 쉽게 조작이 가능하며, 혈액과 심장기능이 불안할때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점으로는 복막투석의 소요시간이 10시간에서 14시간으로 길게 소요됩니다.
복막투석의 합병증으로는 복막염의 위험이 있으며 단백질이 소실될 수 있습니다. 복압상승으로 인해 탈장이 발생할 수 있고, 장천공과 호흡곤란, 고혈당,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우선 도관 삽입 후 상처 치유기간인 5일에서 7일이 지난 후에 투석을 실시합니다. 투석 전, 중, 후로 활력징후를 관찰하여 환자의 상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또 매일 같은 시간 체중을 측정합니다. 투석액 투입 중에는 호흡곤란을 예방하기 위해서 좌위를 취하여 투석액이 횡격막을 압박하지 않도록 합니다. 투석액의 경우에는 체온 정도로 데워서 사용합니다. 또, 복강 카테터는 매일 무균 드레싱을 실시하여 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통목욕은 금지하며, 매일 샤워를 실시합니다.
'간호사 알려주는 의학 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자기 쓰러진 사람을 발견한다면? 심폐소생술 방법 (0) | 2020.06.20 |
---|---|
요로감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간호 방법의 모든 것! (0) | 2020.06.19 |
요실금의 종류와 치료 맟 간호 방법 (0) | 2020.06.17 |
단순포진과 대상포진의 차이와 치료 방법 (0) | 2020.06.16 |
화상을 입었을때 응급처치와 화상환자 치료 방법 (0) | 2020.06.15 |